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보도자료(25.03.17.)] ’25년 지역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 전년 대비 10% 증가한 6.6조 원 투자

March 17, 2025
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4일(금) 17개 시‧도 및 관계부처(기재부, 교육부, 산업부, 중기부, 지방시대위원회)와 함께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5년 시행계획」을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5년 시행계획」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이하 ‘제6차 종합계획’)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중앙정부, 지자체의 ’24년 추진실적 및 ’25년 이행계획을 담고 있다.

 

 

 ’24년에는  6조 506억 원(중앙정부 5조 545억 원, 지자체 9,961억 원)을 지역에 투입하여 주로 우수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육성(2조 1,075억 원) 및 지역대학·연구기관의 거점화(1조 3,041억 원) 등에 중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은 디지털 헬스케어, 우주산업, 미래 모빌리티, 수소에너지 분야와 같은 신산업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는 성과를 창출하였다. 

 

 * 강원(디지털 헬스케어), 경남(우주산업), 전북(미래 모빌리티), 충남(수소에너지) 등

 

아울러,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도입은 지자체의 행정·재정적 권한을 확대하여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 기반을 마련하였다. 대학과 출연연 간 벽 허물기를 목적으로 추진된 학연 공동연구소·학연 공동기술이전센터 설립 등은 대학과 출연연 간 협업 역량 확대하여 지역혁신을 강화하였다. 

 

 ’25년에는 총 6조 6,528억 원(중앙정부 5조 6,914억 원, 지자체 9,614억 원)을 투입하여, 창업·기업 경쟁력 제고(1조 6,210억 원), 지역 대학·연구기관의 거점화(1조 5,153억 원), 지역 교육 및 산업 활성화(1조 801억 원) 등에 주로 투자할 예정이다. 

 

더불어,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가 안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 지자체별로 수립한 과학기술혁신계획에 기반하여 기획된 지자체 주도의 ’26년 신규 사업(안)은 소관 부처와 예산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지역기술혁신허브 선정지역혁신선도기업 육성 등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을 키워 지역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다. 이와 함께, 초격차 산업분야의 신제품·서비스 개발 등에 관한 상용화 R&D를 지원하는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도 새롭게 육성하여 지역경제 혁신성장을 견인할 계획이다.

 

 * (4개 초광역권) 충청권, 대경권, 호남권, 동남권/(3개 특별자치권) 강원, 전북, 제주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장인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시행계획을 통해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혁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정부는 지역과 함께 전략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지역 인재 육성산·학·연 협력 강화 등 지역 맞춤형 지원 확대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과학기술이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