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연구논문

"AI로 멸종위기종 지킨다”서울시립대, 유네스코 국제 공모전 결선 진출

July 7, 2025

AI를 활용하여 환경오염물질이 멸종위기종 서식지에 미치는 독성 영향 예측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와 국제적 과학 소통의 중요성 강조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이 유네스코(UNESCO)와 태국 전자거래개발원(ETDA)이 공동 주최한 국제 AI 공모전 ‘Beyond Green: AI for a Thriving Future Pitch Competition’에 참가하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멸종위기종 보호 플랫폼 개발 및 연구 성과로 최종 결선에 진출했다.

 

 

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 계산화학 기반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직접 전환하는 차세대 촉매 기술 개발

July 4, 2025

고려대·서강대와 공동연구, ‘꿈의 반응’ 실현… Nature Catalysis(IF:44.6)에 논문 게재

 

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이 고려대학교 문준혁 교수, 서강대학교 이진원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IrO₂(이리듐 산화물) 전극 촉매를 활용해 저온에서도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직접 전환할 수 있는 고효율 촉매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메탄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낮은 오염물질 배출, 풍부한 자원량, 기존 에너지 인프라와의 뛰어난 호환성 등으로 인해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체 상태라는 물리적 특성상 수송과 저장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메탄을 액체 연료인 메탄올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이 오랜 기간 추진되어 왔다. 특히 이 반응은 촉매 과학 분야에서 ‘꿈의 반응(Holy Grail reaction)’으로 불릴 만큼 어려운 난제로, 학문적·산업적으로 큰 관심을 받아왔다.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 생활화학제품 생식·발달독성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June 27, 2025

동물실험을 대체할 AI 기반 화학물질의 생식·발달독성 예측 모델 개발

생활화학제품의 위해성 관리 및 안전한 설계에 활용 기대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생식·발달독성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생활화학제품 내 물질의 위해성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환경공학과 박사과정의 김동현 학생과 석사과정의 안시열 학생이 제1·2저자로 참여했으며, 연구결과는 6월 18일 환경과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Environment International(2024년도 JCR 기준 Impact Factor=9.7, 분야 상위 약 7% 이내)에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toxicity of biocides in consumer products using ToxCast bioassays data and machine learning models”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게재되었다.

물리학과 서정화 교수 연구팀, 웨어러블·투명 디스플레이 상용화 앞당길 발광 소자 구현 기술 개발

November 4, 2024

서울시립대학교 물리학과 및 지능형반도체학과의 서정화 교수 연구팀이 웨어러블 및 투명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앞당길 혁신적인 발광 소자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서 교수팀은 전기화학적 도핑 기술을 적용한 발광 트랜지스터 소자를 구현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에서 복잡한 다층 구조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하고 고효율·저비용의 생산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전기화학적 도핑 기술을 통해 발광하는 트랜지스터 개발

-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 선정

 

서정화 교수 연구팀은  폴리비닐 카바졸 (poly(9-vinylcarbazole)) 고분자에 금속 이온 (Li플러스, Cu2플러스)이 결합된 고분자 전해질 신소재를 전기화학적으로 발광 소재에 도핑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가지는 발광 트랜지스터 소자를 성공적으로 구현하였고 금속 이온의 이동에 따른 전자-정공 이동·결합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생명공학과 최인희 교수 연구팀, 광학 우물구조 기반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가속화 기술 개발

February 15, 2024

- 나노과학기술분야 세계적 학술지 ‘Nano Letters’ 논문 게재

- 바이러스 검출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CR 검출 속도 가속화 관련 연구 진행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생명과학과 최인희 교수 연구팀은 바이러스 검출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김동철 교수팀과 하버드 메디컬 스쿨 루크 리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플라즈몬 광학 우물구조를 활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가속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은 D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검출을 하고자 하는 특정 DNA 서열을 기하급수적으로 증폭하는 방법으로, 소량의 검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DNA에 적용하여 감염성 질환의 진단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생명과학과 최인희 교수 연구팀, 나노재료분야 세계적 학술지 표지논문 게재

February 8, 2024

- 나노재료분야 세계적 학술지 ‘Materials Letters’ 표지논문 게재

- 콜라겐과 금 나노입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광활성 콜라겐하이드로겔 나노소재 개발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생명과학과 최인희, 최정우 교수와 화학공학과 이종범 교수 연구팀은 (주)네오리젠바이오텍(대표 서정민)과 공동으로 “콜라겐 및 금 나노입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광활성 콜라겐하이드로겔 나노소재(Au-CHP)”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새로운 광활성 콜라겐하이드로겔 나노소재(Au-CHP)는 생체적합성 콜라겐, 열감응성 고분자 및 금을 원료로 사용하여 고분자 중합을 통해 매우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금 나노입자가 하이드로젤 내부에 도입된다.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주한 교수 연구팀, 2차원 맥신 (MXene) 기반 초광대역 포화흡수소자 제작 기술 개발

January 29, 2024

- 나노과학 분야 국제저명 학술지 Journal of Material Chemistry C 에 뒷표지 논문으로 선정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주한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이경택, 권서영 연구원)은 ‘꿈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나노물질인 맥신 (MXene)을 기반으로 한 초광대역 포화흡수소자 기술을 개발하였음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2023년 11월 21일, 영국의 왕립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저명학술지인 'The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에 뒷표지(Back Cover)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맥신은 금속층과 탄소층이 교대로 쌓인 2차원 나노물질로, 전기 전도성이 높고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전자, 신소재, 화학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생명공학과 최인희 교수 연구팀, 미세 플라스틱이 피부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 발견

January 25, 2024

- 환경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게재

- 생물학연구정보센터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선정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생명과학과 최인희 연구팀(제1저자 엄성현 석사졸업생)은 최근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환경문제인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 피부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게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논문에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