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서울시립대, 서울 RISE사업 3개 프로젝트 최종 선정에 따른 협약 추진

July 1, 2025
서울시립대학교 전경

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 RISE 사업에서 총 3개 프로젝트 3개 사업의 주관대학으로 최종 선정돼 서울 RISE 센터와 협약을 맺는다고 1일 밝혔다.

서울 RISE 사업은 대학이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비전 아래 대학이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서울시가 재정을 지원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사업 1차 연도인 올해는 일반대 26개교와 전문대 9개교 등 총 35개 대학이 선정됐다. 국비 565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서울시립대는 3개 프로젝트 3개 사업의 주관대학으로 선정됐다. 숭실대학교와 컨소시엄을 구성, 서울형 5대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한 도심형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대학 내 S-LAB(기술사업화 탐색 연구 전담 조직) 기반 실증 공간, 기술 사업화 연계 프로그램, 현장 중심 ICC(기업협업센터) 운영 등을 통해 지역 기반 산업체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고급 기술 인재 양성과 기술 창업을 촉진할 계획이다.

또한 창업을 중심으로 상권 활성화, 돌봄, 환경, 문화·디자인 등 도심의 다양한 과제를 아우르는 지역혁신 사업을 추진한다. 주민·지자체·산업계·대학이 함께 참여하는 SI+(Seoul Impact Plus) 플랫폼 기반의 협력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성과는 타 자치구와 지역으로 확산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삼육보건대학교와 함께 평생교육 고도화 사업을 통해 시민 대상 대학 교양강좌 및 맞춤형 직무 교육을 확대하고 생애주기별 학습경로 제공, 성인 학습자 맞춤형 재교육 체계 구축에 나선다. 전임교원 중심의 고품질 교양 대학 운영과 서울형 특화산업과 연계된 직업 교육 중심 커리큘럼을 통해 서울 시민의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원용걸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은 “서울 RISE 사업을 통해 대학이 미래 첨단산업을 선도할 혁신의 주체로 전환하는 구조적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며 “국내 유일 공립대학으로서의 책무를 바탕으로 서울형 지역혁신 모델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원 총장은 서울특별시 시장(오세훈 시장)과 함께 서울 RISE 사업의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최고 기구인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서울라이즈위원회)의 공동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서울시립대, 서울 RISE사업 3개 프로젝트 최종 선정에 따른 협약 추진

1차분류
2차분류 주요연구성과
조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