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생태계 혁신·국가전략기술 고도화 간담회
"국가 중요임무 연구 주도하도록 자율·책임성 보장"
"우수 연구 성과 과감한 보상 통해 몰입 환경 조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오전 10시 30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출연연 연구자들과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 및 국가전략기술 고도화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현장 중심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달부터 이어온 간담회 일환이다. 출연연 연구개발의 임무 중심형 혁신과 기술패권 경쟁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방향 등을 중심으로 정책 혁신 방안에 대한 토의가 진행됐다.
출연연 소속 신진·청년 연구자, 출연연에서 오랜 기간 연구한 중견 연구자, 국가전략기술 분야 대형연구를 수행하는 글로벌톱(TOP) 전략연구단장, 연구행정 및 정책담당자 등 기술 분야, 연구·행정을 아우르는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해 출연현 현장에서 느낀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했다고 한다.
특히 민간 전문성을 연구개발 기획·투자·평가체계에 어떻게 반영할지, 연구생태계 혁신과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출연연 역량 강화로 연계할 전략이 무엇인지 등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출연연이 국가 중요 임무 연구를 주도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책임성이 바탕이 된 시스템 전환이 필수적이라는 게 참석자들의 중론이다.
또 우수한 연구 성과에 대한 과감한 보상을 통해 우수연구자가 연구를 주도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현 12대 국가전략기술 체계를 고도화해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인공지능(AI) 전환을 비롯한 기술동향 변화, 현장 연구개발 수요, 국가적 당면과제 해결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참석자들은 국가전략기술이 곧 국가 연구개발의 핵심임무인 만큼 가시적 성과 창출과 중장기적인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균형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냈다.
박 본부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출연연은 우리 연구개발 생태계의 뼈대이자 국가전략기술 육성의 핵심 주체"라며 "출연연 연구자가 신나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때 비로소 국가적 연구성과 창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첨단과학 연구를 통해 지식이 창출되고 지식이 신흥기술을 넘어 산업으로 연결되는 건강한 연구개발 생태계가 만들어지도록 민간과 정부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날로 가속화되는 기술 패권 경쟁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국가전략기술 육성 전략을 고도화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출처] 뉴시스(https://www.newsis.com) 박은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