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보도자료(25.11.17.)] 2026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사업 운영계획(안) 사전 안내

November 25, 2025
부처명
교육부
내용

 

 교육부(장관 최교진)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11월 18일(화)에 ‘2026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사업’ 운영계획(안)을 안내한다. 이번에 안내하는 운영계획(안)은 특성화대학 선정 희망 대학의 준비기간 확보 등을 위한 사전 안내로, 정부안 기준으로 선정 규모 등을 제시한 것이다. 이후 국회 예산안 확정 시 그 결과를 반영하여 본 공고를 할 예정이다.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사업’은 첨단산업 분야의 혁신을 이끌 학사급 전문 인재를 배출하고 석·박사급 고급 인재 양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기초과학·기업 협업 교과목 확대, △우수 교원 확보 및 교육·실습 환경 구축, △탄력적인 학사-교원 인사제도를 촉진하기 위하여 정부가 집중적으로 재정지원을 할 계획이다. 

 

 2025년에는 반도체 20개 사업단(30개교), 이차전지 5개교, 바이오 3개교를 대상으로 1,167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여, 분야별로 대학의 역량과 강점에 기초한 특성화 인재양성 체계를 마련하였다. 2026년에는 「국가첨단전략기술 지정 등에 관한 고시」 일부개정(’25.5.12.)에 따라 국가첨단전략기술에 새롭게 포함된 ‘로봇 분야’를 신설하여, 바이오 2개교 및 로봇 3개교를 선정하는 등 총 1,209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선정 규모 등은 정부안 기준으로, 국회 예산안 확정 결과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026년 운영계획(안)에 따르면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이 준비해야 하는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교육부는 특성화대학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상시 규제개선 지원체계, △인재양성 지원 협업센터 운영, △우수사례 발굴 및 성과 확산 등의 지원도 지속한다. 이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대학 특성화 모델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은희 인재정책실장은 “인재 양성은 첨단산업 분야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 과제다.”라고 말하며, “앞으로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을 지원하여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로봇 등 첨단분야 취업과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활성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사업 개요

【별첨】 2026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사업 계획(안)